[테슬라 FSD(Full Self Driving Capability)] 테슬라 FSD의 현재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테슬라 자율주행 정리

이미지
  FSD(Full Self Driving Capability) 는 테슬라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완전 자율주행 단계의 기술을 의미합니다. FSD를 언급하기 전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을 알아야 합니다. ADAS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기반이 되는 기술로 센서나 카메라가 위험상황을 인식하고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안전장치입니다. 현재 많은 차량에 옵션으로 탑재되어 있는 기술입니다. 테슬라는 ADAS 기능들을 오토파일럿, 향상된 오토파일럿, FSD 단계로 나누어 구분하고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1. 자율주행의 역사 2010년도 , 테슬라 CEO인 일론 머스크는 구글과 협력하여 자율주행 시스템을 개발하려 했습니다. 하지만, 여러 환경들로 인해 틀어졌고 테슬라 독자적으로 자율주행 시스템을 개발하기 시작합니다. 머스크는 인체구조와 같은 원리로 사람의 눈과 같은 카메라만을 이용해 자율주행 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초창기 엔지니어들은 초음파센서와 레이더도 필요하다고 주장했고, 이를 수긍하여 플랫폼을 개발합니다.  2017년도 , OpenAI의 엔지니어인 안드레 카파시가 합류하고, 카메라로 뽑아낸 데이터만으로 고정밀 지도 방식을(섬세하게 도로와 주변 지형 상황을 오차 10cm 이내로 구현해 내는 방식) 추월하는 성능을 구현하게 됩니다. 2021년도의 오토파일럿 기능은 운전자의 제어가 필요하여 자율주행 레벨 2에(자율주행 레벨은 5단계로 구성) 머물게 되고 계속해서 데이터를 축적해 나갑니다. 2020년도 , 웨이모는(알파벳/구글 산하 자율주행 개발 업체) 1,000여 대의 차량으로 약 3천 200만 Km의 실제 도로 데이터를 축적한 반면 테슬라는 80만 대 이상의 차량을 통해 하루 만에 웨이모의 전체 데이터 이상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에 도달 했습니다. 약 48억 Km의 주행 데이터를 수집하였습니다. 이후...

[SPR 전략비축유] 전략비축유가 유가에 끼치는 영향은 무엇일까?

  SPR(Strategy Petroleum Reserve) 이라 불리는 전략비축유는 정유주나 유가에 관심 있으신 분이라면 익히 들어보셨을 겁니다. 전략비축유는 경제봉쇄나 금수조치, 전쟁 등 공급 중단에 일시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국가별로 비축해 두는 원유입니다. 1973년~1974년 제1차 석유파동이 발생하며 미국에서 전략비축유를 구체화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전략비축유 방출은 대통령의 긴급명령에 의해서만 이루어집니다. 국가별 전략비축유와 전략비축유가 유가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국가별 전략비축유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에 따르면 2023년 10월 기준 미국의 전략비축유는 약 3억 5127만 배럴입니다. 하루 전 세계 원유 사용량이 약 1억 배럴인 것을 감안하면 전 세계 인구가 3일 정도 쓸 수 있는 양입니다. 하지만, 미국은 1983년 8월 이후 최저 수준의 전략비축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의 약 6억 9000만 배럴이었던 수준에서 절반 수준입니다. 우리나라 는 약 9,600만 배럴의 전략비축유를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 은 약 2억 2,000만 배럴, 인도 는 약 5,900만 배럴, 일본 은 약 4억 8,000만의 전략비축유를 보유 중입니다. 전 세계 1일 원유 생산량과 소비량이 약 1억 배럴인 것을 감안하면 각 국가별 전략비축유는 전 세계 유가에 영향을 끼칠만한 양입니다.  2. 전략비축유와 유가 상관관계   석유파동이나 오일쇼크와 같이 외부적으로 원유 공급이 급격하게 제한되는 상황이 도래하면 미국을 비롯한 국제에너지기구(IEA) 회원국들은 전략비축유를 방출하여 유가를 안정시키고자 합니다.  지난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 각 회원국들은 미국의 전략비축유 방출에 동참하였고, 당시 미국은 2월에 3,000만 배럴과 3월에 1억 8,000만 배럴을 방출하였습니다. 2021년에는 높아지는 유가 때문에 미국을 비롯한 6개국이 전략비축유를 방출하였고 그 결과 약 ...

[원유 공급량과 수요량] 전 세계 국가별 원유 공급량과 수요량은 어떨까?

이미지
  물가를 결정짓는 많은 요소들이 있지만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소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근원인 원자재 가격입니다. 원자재 중에서도 원유의 가격은 실생활 곳곳에 영향을 끼칩니다. 원유 가격은 자본주의의 가장 기본 법칙인 공급과 수요에 의해 결정되는데요, 전 세계 국가별 원유 공급량과 수요량은 어떤 추세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2023년 국가별 원유 공급량(생산량)과 수요량은? - 공급량(생산량) OPEC 플러스의 10월 마켓 리포트에 따르면 2023년도 전 세계 평균 원유 공급량은 OPEC이 아닌 국가들이 67.49mb/d(1일 6,749만 배럴), 2023년 9월 기준 OPEC 국가들이 27.75mb/d(1일 2,775만 배럴), OPEC 국가들의 천연가스와 비재래식 원유(NGLs and Non-conventional oils)가 5.44mb/d(544만 배럴)로 총 100.6mb/d(1일 1억 60만 배럴) 입니다. 2022년도 총 공급량인 100.06mb/d(1일 1억 6만 배럴)에서 0.54mb/d(1일 54만 배럴) 증가한 공급량입니다.                     <2023년도 OPEC이 아닌 국가들의 원유 생산량>, 출처 : OPEC   <2023년도  OPEC 국가들의   천연가스와 비재래식 원유  생산량>,   출처 : OPEC      < 2023년도  OPEC 국가들의 9월 원유 생산량>,    출처 : OPEC - 수요량  반면 2023년도 전 세계 평균 원유 수요량은 총 102.06mb/d(1일 1억 206만 배럴) 입니다. 2022년에 비해 2.44mb/d(1일 244만 배럴) 증가한 수요량으로 2.45% 증가한 수치입니다. 국가별로는 북미가 24.97mb/d(1일 2,497만 배럴), 중국이 ...

[기름값은 왜 비싸질까?] 휘발유, 경유 가격이 비싸지는 이유와 가격이 저렴해지기 위한 조건은?

이미지
 작년부터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비싸진 상태에서 좀처럼 저렴해지지 않고 있습니다.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오르게 되면 운전자들이 가장 먼저 체감하게 됩니다.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전반적인 실생활 물가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차가 없으신 분들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됩니다. 고유가 현상이 고물가 현상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죠. 그렇다면 기름값은 왜 오르는 것이고 언제 떨어질 수 있을까요?  휘발유와 경유란?  먼저 휘발유와 경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열 온도에 따른 석유제품 구분> * 휘발유(Gasoline) : 말 그대로 휘발성이 강한 기름입니다. 석유를 가열하여 분류할 때 섭씨 30도 ~140도에서 얻어지는 물질입니다. 가솔린 엔진을 사용하는 기계 및 장비의 원료로 사용됩니다. 휘발유가 증발한 성분을 유증기라 하는데 유증기는 정전기나 스파크에도 쉽게 발화하기 때문에 취급에 조심해야 합니다. 화재 및 폭발 위험과 연료 소모가 많아 효율이 낮으므로 대형 기관에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나, 불순물이 적어 일반 승용차에 사용 시 소음과 주행성이 좋아 디젤보다 인기가 많은 연료입니다. * 경유(Diesel Oil) : 중유보다 가볍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석유를 가열하여 분류할 때 섭씨 250도 ~ 350도 사이에서 얻어지는 물질입니다. 디젤 엔진의 연료로 많이 사용되며 휘발유와는 다르게 인화성이 적어 취급에는 용이한 제품입니다. 연료를 완전히 연소시켜야 하고 엔진 내 압축과정에서 높은 압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디젤 엔진의 소음이 심합니다. 또한 배출가스로 인한 환경오염 때문에 점점 경유의 인기는 떨어지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산업용 기계나 설비에서는 높은 출력을 필요로 하므로 경유의 수요는 꾸준합니다.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비싸지는 이유는?  자본주의에서 가격 형성의 기본적인 메커니즘은 수요와 공급의 관계입니다. 수요와 공급이 불균형하게 되면 가격은 비싸지게 됩니다. 기름도 마찬...

[금리와 환율]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에 따른 원 달러 환율 전망은?

이미지
 오늘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한국은행은 올해 1월 이후 7번째 금리 동결을 발표하였습니다.  최근 9월 기준금리를 동결했을 때를 제외하고는 계속해서 금리 인상을 해왔던 미국과는 대조적인 우리나라의 금리정책입니다. 국가 간 기준금리 차이에 따른 환율 변동과 향후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준금리란? 기준금리(Federal fund target rate)란 각국의 중앙은행에서 정하는 금리 수준으로 기준금리에서 "기준" 이 의미하는 바와 같이 시장에 기준이 되는 금리 이다. 미국에서는 미국 시중은행 간 자금 거래에 적용되는 1일 물 초단기 금리인 실효 연방기금금리(EFFR)가 있다. 시장에 유동성이 풍부하여 은행에 돈이 넘쳐 EFFR이 일정 범위를 넘어서 급격하게 하락하거나, 반대로 시장에 유동성이 부족하여 은행에 돈이 없어 EFFR이 급격하게 상승하면 시장에 혼란을 초래한다. 따라서,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에서는 기준금리를 정해놓고 기준금리 범위 안에서 EFFR을 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사용한다. 각국의 중앙은행은 이처럼 시장에 기준이 되는 기준금리를 설정하고 시장을 통제한다. * 참고로 보통 우리는 기준금리가 4.0%, 5.0% 같이 딱 떨어지는 값이라고 생각하지만 5.0%~5.25%처럼 범위로 정한다. 하지만, 우리가 접하는 기준금리는 편의상 범위가 아닌 정해진 값으로 접하게 된다.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는? 미국의 기준금리는 2022년 7월 2.5%에서 2023년 9월 5.50%까지 계속해서 상승세를 보이다가 최근 9월 한차례 동결했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2022년 8월 2.5%에서 2023년 10월 3.5%로 상승했지만 7차례 동결했다. 우리나라는 부동산 대출 비율이 매우 높은 경제구조이므로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가계대출 부담 때문에 기준금리를 올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위의 표를 보면 금리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차이에 따른 금리 차이와 환율을 확인...

[전쟁과 인플레이션]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은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영향을 끼칠까?

이미지
 오늘은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에 따라 전 세계 경제가 어떤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팬데믹 이후 막대한 유동성 자금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잠시 주춤해지는 현재 시점에서 전쟁 발발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다시 고개를 들고 가속화되는 것인지 아니면 오히려 경기침체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더욱 빠르게 해소가 되는 것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Inflation)이란 시중에 막대한 자금 흐름으로 인해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관련 있는 현상은 디플레이션(Deflation), 디스인플레이션(Disinflation), 디프레션(Depression),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리플레이션(Reflation) 현상이 있습니다.  * 인플레이션(Inflation) :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으로 소비자물가지수(CPI) 등 여러 물가지수 상승률을 통해 판단한다.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2%대 인플레이션을 목표로 금리 인상 정책을 지속 중이다. * 디플레이션(Deflation) : 인플레이션의 반대 개념. 지속적으로 물가가 하락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전반적인 기업 활동이 줄고 생산이 감소하며 실업률이 상승한다. * 디스인플레이션(Disinflation) :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위한 긴축 경제 조정 정책이다. * 디프레션(Depression) : 경제활동이 침체되는 현상. 물가와 임금이 하락하고 생산이 위축되며 실업이 증가한다. *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 저성장 고물가의 경제형태로 물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지만 경기는 침체되는 현상을 말한다. * 리플레이션(Reflation) :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중간쯤 위치한 상태이다. 디플레이션은 벗어났지만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는 않을 만큼의 통화 재팽창이 일어나는 현상이다. 과거 전쟁 발발에 따른 인플레이션 상관관계 주요 전쟁 시기에 소비자물가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 f...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 하마스와 이스라엘군의 병력 규모 및 헤즈볼라 참전 이후 예상 전개 양상

이미지
 지난 일요일 이스라엘군이 지상군 침투 전 가자 지구의 주민들에게 최종 대피령 통보를 하였습니다.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 이스라엘 가자 지구에 지상군 침투 주저하나? (2pw2.com) 그 후 예정된 시간이 도래했음에도 이스라엘군의 본격적인 지상군 침투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는데요. 오늘은 하마스 병력 규모와 이스라엘군 병력 규모를 알아보고 헤즈볼라가 참전하게 된다면 전쟁의 양상이 어떻게 변하게 될지 알아보겠습니다. 하마스와 이스라엘군 병력 규모 하마스는 팔레스타인의 정당으로 테러 단체입니다. 미국을 포함하여 다른 국가들에게 테러 단체로 규정되고 있습니다. 하마스는 이번 전쟁에서도 볼 수 있듯이 민간인에 대한 공격을 서슴지 않는 집단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하마스는 정당이고 하마스 내에 속한 '이즈 앗딘 알카삼'이라는 하마스 내 군사조직이 하마스군의 실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알카삼 사단'의 병력 규모는 5개 여단, 20,000명 정도의 규모라고 합니다. 이 중 약 2,000명이 이란과 시리아에서 정규 훈련을 받고 온 정예병이며, 약 5,000명은 가자 지구에서 하마스와 연대하는 무장단체입니다.  이스라엘군의 병력 규모는 육, 해, 공군 총합하여 상비군 약 169,500명, 예비군 약 465,000명입니다. 이스라엘도 징병제이므로 상비군과 예비군 인력이 상당합니다. 지금까지 중동지역에서 무수한 전투를 치러온 군대인 만큼 실전 경험이 풍부하고 숙련된 전문가 군 집단입니다.  군사력만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는 비교가 안될 정도의 군사력 차이입니다. 제공권과 제해권을 가진 이스라엘의 공중폭격과 해상을 이용한 작전과 침투가 군사력의 엄청난 차이를 만들어 냅니다. 하지만, 헤즈볼라와 다른 중동 국가들의 참전이 발생하면 전쟁 양상은 어떻게 바뀔지 모릅니다.  헤즈볼라 병력과 참전 이후 예상 전개양상 헤즈볼라는 2005년 결성된 레바논의 '3월 8일' 동맹에 속한 정당이며 하마스와 마찬가지로 테러 단체입니다. 이란과 시...